맨위로가기

노르웨이 국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웨이 국철(Vy)은 노르웨이의 주요 여객 철도 운송 회사로, 1996년 구조 개편을 통해 설립되었다. 이전에는 노르웨이 국철(NSB)로 운영되었으며, 철도 노선의 소유, 유지 보수, 건설을 담당하는 노르웨이 국립 철도청, 철도 운영 감독을 위한 노르웨이 철도 감찰청, 여객 열차 운행을 담당하는 NSB BA로 분리되었다. 1998년 오슬로 공항 가르데르모엔 개장과 함께 가르데르모엔 선을 개통했으며, 1990년대 후반 차량 현대화와 브랜드 이미지 쇄신을 시도했다. 2002년 NSB는 유한 회사로 전환되었고, IT, 유지 보수, 화물 부문을 분사했다. 2019년 NSB는 Vygruppen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Vy로 브랜드 변경했다. Vy는 광역 철도, 지역 열차, 통근 열차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차량과 자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설립된 철도 기업 -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는 1996년 나가노현에 설립된 제3섹터 철도 회사로, 시나노 철도선과 기타시나노 선을 운영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1996년 설립된 철도 기업 - BNSF 철도
    BNSF 철도는 1996년 두 철도의 합병으로 설립되어 미국과 캐나다에서 화물을 운송하며, 2009년 버크셔 해서웨이에 인수된 북아메리카의 주요 철도 회사이다.
  • 노르웨이의 공기업 - 스태트크래프트
    스태트크래프트는 1895년 노르웨이 정부의 수력 발전소 매입으로 시작되어, 수력 발전을 중심으로 풍력, 태양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운영하며, 2018년 유럽 최대의 재생 에너지 생산자가 된 노르웨이의 국영 에너지 기업이다.
  • 노르웨이의 공기업 - 노르웨이 방송 협회
    노르웨이 방송 협회(NRK)는 1933년 설립되어 BBC 모델을 기반으로 전국 방송을 독점했던 노르웨이의 공영 방송사로, 현재 다양한 TV 및 라디오 채널과 지역 방송국을 운영하며 2017년 세계 최초로 FM 라디오 방송을 종료하고 디지털 라디오로 전환하였다.
  • 노르웨이의 브랜드 - 오드펠
    화학 제품 운송 및 해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르웨이 기업 오드펠은 해운업으로 시작해 화학 유조선 사업으로 확장되었으며, 탱커 사업을 중심으로 아시아 시장 진출과 가스 운반선 사업 재개 등 사업 확장을 통해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화학 제품 운송과 터미널 운영을 하고 있다.
  • 노르웨이의 브랜드 - 에퀴노르
    에퀴노르는 노르웨이 기반의 국제 에너지 기업으로, 석유, 가스 사업과 더불어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사업도 추진하며, 파이프라인 운영에도 참여하고 사회공헌 활동도 수행한다.
노르웨이 국철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개요
회사명뷔그룹 (Vygruppen AS)
이전 명칭노르웨이 국영 철도 (Norges Statsbaner AS)
설립일1996년 12월 1일 (1883년)
소재지오슬로, 노르웨이
최고 경영자그로 박스타드 (Gro Bakstad)
서비스 지역노르웨이 및 스웨덴 (오슬로-예테보리 노선)
산업운송
모회사노르웨이 교통통신부
자회사뷔 버스
뷔 예비크바넨
뷔 토그(스웨덴)
카고넷
웹사이트www.vy.no
재무 정보 (2009년 기준)
수익110억 노르웨이 크로네
영업 이익5억 4800만 노르웨이 크로네 (흑자)
순이익4억 9700만 노르웨이 크로네 (흑자)
직원 수
직원 수10,646명 (2006년 기준)

2. 역사

이전 NSB 로고 (2005–2019)


1996년 12월 1일, 노르웨이 철도 역사상 가장 큰 구조적 변화가 일어났다. 구 노르웨이 국철(NSB)은 노르웨이 국립 철도청(철도 노선 소유, 유지보수 및 건설), 노르웨이 철도 감찰청(철도 운영 감독), NSB BA (노르웨이 교통통신부 산하 유한 회사)의 세 기관으로 분리되었다. NSB는 NSB Biltrafikk (현재 Vy Buss)와 NSB Eiendom (이후 ROM Eiendom, 2017년 Bane NOR Eiendom으로 승계)을 자회사로 편입했다.[2]

GMB71형 전동차를 사용한 공항 연락 열차, 오슬로 중앙역에서


1998년, 오슬로 포르네부 공항을 대체하는 오슬로 공항 가르데르모엔이 개장했다. NSB는 오슬로 중앙역에서 공항까지 56km 구간에 고속철도를 건설하여 19분 만에 주파하는 친환경 교통 체계를 구축했다. 그러나 가르데르모엔 선 건설 중 로메리케 터널 누수로 비용 초과 및 개통 지연 문제가 발생했다. 노르웨이 최초의 고속철도 노선은 1998년에 개통되어 GMB Class 71 전기 동차가 투입되어 최대 210km/h의 속도로 운행되었다.[2]

NSB는 1990년대 후반 NSB El 18 전기 기관차, NSB Class 73 틸팅 열차, NSB Class 93 디젤 동차, NSB Class 72 통근 열차 도입 등 현대화를 추진했다. 또한, NSB Signatur, NSB Agenda, NSB Puls 등 브랜드 이미지를 도입하여 서비스 개선을 시도했다. 그러나 디젤 노선에 투입하려던 NSB Di 6은 북부 노르웨이의 추운 날씨에서 작동하지 않아 반환되었다.

2002년, 본데비크 2기 내각은 NSB를 주식회사 NSB AS로 전환했다. IT 부문은 Arrive로, 유지보수는 Mantena로 변경되었다. NSB는 스웨덴 Tågkompaniet의 일부를 인수했고, 화물 부문 NSB Gods는 CargoNet으로 변경 후 Green Cargo에 지분 45%가 매각되었다. 2004년, NSB 가르데르모반엔은 노선 소유권을 Jernbaneverket로 이전하고, 열차 운행은 공항 급행 열차로 이관되었다.

2019년 4월 24일, NSB는 Vygruppen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Vy로 브랜드를 변경했다.[3][4] 그러나 노르웨이 언어 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민의 7%만이 이러한 변화를 지지했다.[5]

2. 1. 전사(前史): 1854년 ~ 1883년

노르웨이 최초의 철도는 1854년 9월 1일 개통한 오슬로에이드스볼 간의 호브드 선(Hoved Line)이다. 이 철도는 당시 목재 수송 수요 증가를 예상한 노르웨이 정부와 영국 투자자가 분할 투자하여 설립하였으며, 영국 기술자들에 의해 건설되었다. 설립 비용은 200만노르웨이 크로네였다.[11] 초기에는 철도 종점인 묀사 호수에서 릴레함메르까지 증기선 서비스도 제공되었다. 호브드 선은 1926년까지 사철이었지만, 설립 초기부터 정부의 큰 영향을 받았다.

1857년 의회에서 국립 철도 설립이 의결된 후, 1862년 7월 23일 함마르-그룬세트바넨(Hamar-Grundsetbanen)이 협궤로 건설되었다. 이후 콩스빙에르 선(Kongsvinger Line), 트론헤임-스퇴렌 선(Trondhjem–Støren Line) 등 여러 노선이 건설되었다.

노선명개통 연도비고
호브드 선(Hoved Line)1854년
함마르-그룬세트바넨(Hamar-Grundsetbanen)1862년협궤
콩스빙에르 선(Kongsvinger Line)1862년표준궤
트론헤임-스퇴렌 선(Trondhjem–Støren Line)1864년협궤
란스피요르 선(Randsfjord Line)1868년
드라멘 선(Drammen Line)1872년
뢰로스 선(Røros Line)1877년
예렌 선(Jæren Line)1878년
외스트폴 선(Østfold Line)1879년
헤드마르크 선(Hedmark Line)1880년
동외스트폴 선(Eastern Østfold Line)1882년
베스트폴 선(Vestfold Line)1882년
메라케르 선(Meråker Line)1882년


2. 2. NSB 설립과 노선망 확대: 1883년 ~ 1945년

1882년, 1857년 이후 설립된 모든 국영 철도를 운영하는 NSB가 오슬로(당시에는 크리스티아니아)에 있던 중앙국에 의해 정식으로 설립되었다. 국립 철도는 6개의 지구로 나뉘어 각 지구장과 그 사무소에서 관리되었다. 사무소는 크리스티아니아, 드람멘, 하마르, 트론헤임, 스타방에르, 베르겐에 설치되었으며, 이후 크리스티안산, 나르비크, 아렌달이 추가되었다. 이 경영 체제는 1989년까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았다.

1890년 의회는 다시 철도 노선 부설 계획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첫 번째 계획이 종료된 지 7년 후의 일이었다. 많은 노선이 건설되어 노르웨이는 오슬로를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의 철도망이 형성되었고, 주요 간선이 잇따라 완성되었다. 예를 들어, 베르겐 선(1909년 개업), 도브레 선(:en:Dovre Line)(1921년 개업), 노르란 선(:en:Nordland Line)의 모 이 라나까지(1942년 개업), 쇠르란 선(:en:Sørland Line)(1944년 개업) 등이 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 199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노선망 확대는 사실상 종료되었으며, 뉘르란 선의 보되 연장(1962년 완공)이 유일한 예외였다. 1952년 정부는 모든 노선망의 절반을 전철화하기로 결정하고, 증기 기관차 운행을 중단하였다. 1970년 도브레 선 전 구간이 전철화되었다.[2]

NSB(노르웨이 국철)는 현대적인 철도 운영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주로 두 가지 유형의 기관차를 운용하려 했다. Di3는 디젤 기관차 노선 운행용, El11은 전철화 노선 운행용으로 사용되었다. Di3는 1957년부터, El11은 1951년부터 운용이 시작되었다. El11이 El13으로 개조되는 동안 입환 기관차로 Di2가 추가되었다.

1980년 오슬로 터널(Oslo Tunnel) 개통으로 오슬로 중앙역이 새로운 현관 역할을 하게 되었고, 오슬로 서부선(Oslo Vestbanestasjon)은 1989년 폐지되었다.

2. 4. 구조 개혁과 민영화 시도: 1996년 이후

1996년 12월 1일, 20세기 노르웨이 철도 역사상 가장 큰 구조적 변화가 일어났다. 기존 노르웨이 국철(NSB)은 3개의 별도 정부 기관으로 분리되었다. 철도 노선의 소유, 유지보수 및 건설은 새롭게 창설된 정부 기관인 노르웨이 국립 철도청으로 이전되었고, 모든 철도 운영을 감독하기 위해 새로운 노르웨이 철도 감찰청이 설립되었다. NSB는 '''NSB BA'''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유한 회사로 설립되어 노르웨이 교통통신부의 완전 소유가 되었다. 또한, NSB는 기업이 되었으며, NSB Biltrafikk (현재 Vy Buss)와 NSB Eiendom (이후 ROM Eiendom, 2017년 Bane NOR Eiendom으로 승계)이 NSB의 자회사로 편입되었다.[2]

1998년, 1980년대부터 너무 작았던 구 오슬로 포르네부 공항을 대체하는 새로운 오슬로 공항 가르데르모엔이 개장했다. 새로운 공항 건설을 위한 정치적 타협의 일환으로, NSB는 이중적인 임무를 맡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지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이는 오슬로 중앙역에서 공항까지 56km에 걸쳐 있는 고속철도를 건설하여 19분 만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정을 촉구했다. 동시에, 정치적 규정에 따라 공항 개발은 납세자에게 재정적 부담을 주어서는 안 되었고, 따라서 전체 프로젝트는 대출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었다. 그 결과 공항은 민간 항공청의 자회사인 오슬로 류프탄 AS에서 자금을 조달, 건설 및 운영하고, 철도 연결은 NSB 자회사인 NSB 가르데르모반엔에서 자금을 조달, 건설 및 운영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가르데르모엔 선 건설 중 로메리케 터널 누수로 인해 심각한 비용 초과 및 터널 개통 지연 문제가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 최초의 고속철도 노선은 1998년 10월 8일 새로운 공항과 동시에 제때 개통되었지만, 로메리케 터널은 예정된 개통일보다 1년 이상 늦은 1999년 10월 22일에 개통되었다. 이 열차는 168명의 승객을 수용하고 최대 210km/h인 16개의 맞춤형 클래스 71 전기 동차를 사용하여 운행된다.[2]

NSB는 1990년대 후반, 새로운 차량 구입과 새로운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 자체적으로 현대화를 시도했다. 가장 먼저 인도된 차량은 22대의 El 18 전기 기관차였다. 이 기관차는 남부 노르웨이의 여객 열차 운행을 담당하고, El 16 및 El 14은 화물 부문으로 이동되었으며, El 17은 폐기되거나, 차량 기지로 격하되거나, 플롬 선으로 판매되었다. 새로운 기관차는 최대 200km/h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 디젤 노선의 경우, NSB는 지멘스로부터 12대의 Di 6을 구매하려 했지만, 북부 노르웨이의 추운 날씨에서 충분히 작동하지 못해 반환해야 했다. NSB는 또한 세 가지 구역별 브랜드를 사용하여 자체 브랜드를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NSB Signatur (급행 열차), NSB Agenda (지역 열차) 및 NSB Puls (시내 열차). 동시에, NSB는 새로운 전기 동차를 주문했는데, 우선 새로운 공항 급행 열차 서비스인 클래스 71에 투입되었다. 이어서 베르겐 선, 도브레 선 및 쇠르란 선의 급행 서비스에 사용하고 틸팅 기술을 갖춘 16대의 새로운 Signatur 열차인 클래스 73이 투입되었다. 이는 기존 철도 노선을 사용하여 고속 철도 서비스를 만들려는 시도였지만, 오슬로와 종착역 간의 운행 시간은 약 10분 정도만 단축되었다. 이 열차는 파란색과 회색으로 칠해졌으며, 수십 년 만에 NSB에서 운행하는 최초의 빨간색이 아닌 열차였다. 동시에, NSB는 NSB 인터시티 익스프레스 서비스와 디젤 서비스를 대체할 Agenda 개념 도입을 발표했다. 클래스 70은 단순히 재도색되었지만, 노르란 선, 라움 선 및 뢰로스 선의 디젤 서비스는 2001년에 15대의 새로운 클래스 93 차량으로 업그레이드되었으며, 편안함 부족에 대한 비판을 받았지만 철도 속도를 높였다. NSB는 또한 라움 선과 뢰로스 선의 야간 열차 서비스를 중단했다. 2002년부터 NSB는 36대의 새로운 전기 시내 열차인 클래스 72를 인수했다. 이 열차는 회색/녹색으로 칠해졌으며 (브랜드 이름 ''Puls'' 사용을 위해) 오슬로 통근 철도 및 예렌 통근 철도에 투입되었다. NSB는 현재 철도 제품에 브랜드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중단했다.

2002년, 본데비크 2기 내각은 노르웨이 철도 부문의 추가적인 규제 완화를 원했고, 7월 1일에 NSB를 유한 회사 '''NSB AS'''로 만들었다. NSB는 회사를 더욱 기업화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IT 부문은 자회사인 Arrive로, 유지보수는 Mantena로 변경되었다. NSB는 또한 스웨덴의 Tågkompaniet의 일부를 인수했으며, 구 화물 열차 부문인 NSB Gods는 CargoNet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자회사의 45%가 Statens Järnvägar의 후계자인 Green Cargo에 매각되었다. 2004년, 정부는 또한 NSB 가르데르모반엔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회사의 부채를 삭제하고, 소유한 노선을 Jernbaneverket로 이전하고, 열차 운행을 새로운 정부 소유 기업인 공항 급행 열차로 이전했다.

2019년 4월 24일, NSB는 Vygruppen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Vy (스칸디나비아 단어로 비전, 전망, 개요 또는 미래를 의미)로 브랜드가 변경되었다.[3][4] 노르웨이 언어 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이러한 이름 변경에 대해 노르웨이 국민의 7%만이 지지했다.[5]

2. 5. 더불어민주당 및 진보 진영 관점에서의 역사 재조명

1996년 12월 1일, 노르웨이 국철(NSB)은 대대적인 구조 개편을 겪었다. 철도 노선 소유 및 관리는 노르웨이 국립 철도청으로, 철도 운영 감독은 노르웨이 철도 감찰청으로 이관되었고, NSB는 NSB BA로 개칭되어 교통통신부 산하 유한 회사가 되었다. 이는 철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공 서비스로서의 철도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1998년 오슬로 공항 가르데르모엔 개항과 함께 가르데르모엔 선이 개통되었다. 이 과정에서 NSB는 공항까지 구간에 고속철도를 건설하여 19분 만에 주파하는 환경 친화적인 교통 체계를 구축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로메리케 터널 누수 문제로 비용 초과 및 개통 지연을 겪기도 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 최초의 고속철도 노선은 1998년에 개통되어, GMB Class 71 전기 동차가 투입되어 최대 210km/h의 속도로 운행되었다.[2]

NSB는 1990년대 후반 NSB El 18 전기 기관차 도입, NSB Class 73 틸팅 열차 도입, NSB Class 93 디젤 동차 도입, NSB Class 72 통근 열차 도입 등 대대적인 현대화를 추진했다. 또한, NSB Signatur, NSB Agenda, NSB Puls 등 브랜드 이미지를 도입하여 서비스 개선을 시도했다.

2002년, 보수 정당인 기독교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본데비크 2기 내각은 철도 부문의 규제 완화를 추진하여 NSB를 주식회사 NSB AS로 전환했다. 이는 신자유주의적 흐름에 따른 조치였으나, 공공 서비스 약화에 대한 우려를 낳기도 했다.

2019년 4월 24일, NSB는 Vygruppen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Vy로 브랜드를 변경했다.[3][4]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노르웨이 언어 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민의 7%만이 지지하는 등, 국민적 공감대가 부족했다는 비판을 받았다.[5]

3. 서비스

Vy는 광역철도, 지역 열차, 통근 열차의 세 가지 주요 여객 철도 운송 방식을 운영한다.[1]


  • '''광역 열차 (Regional services):''' 74형 및 73b형을 사용하며, 간선 철도, 베스트폴 선, 외스트폴 선을 따라 매시간 운행된다. 릴레함메르와 스키엔 사이를 운행하는 열차는 오슬로 공항 가르데르모엔에 정차하여 공항 급행 열차의 대안을 제공한다.[1]
  • '''통근 열차 (Commuter services):''' 오슬로 통근 철도는 69형, 72형, 75형 열차를 사용한다. 베르겐, 오슬로, 시엔 주변에서 통근 열차 서비스를 운영하며, 이 서비스는 보통 시간당 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3. 1. 열차 등급

NSB는 세 종류의 열차 등급으로 운행된다. 급행 열차, 지방 열차, 통근 열차이다.

급행 열차(Regiontog)는 베르겐 선, 도브레 선, 쇠르란 선에서 운행된다. 4량 편성 전동차 BM73(노르웨이어) 또는 기관차가 견인하는 방식으로 운행된다.

야간 열차는 뫼를란 선의 트론헤임~보되 구간에서 BM93을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매번 다르다.

세 개의 노선이 운행된다.

노선주요 경유지
오슬로~트론헤임 (도브레 선)릴레스트롬, 오슬로 공항, 하마르, 트론헤임 중앙역
오슬로~베르겐
오슬로~크리스티안산~스타방에르

[1]

3. 2. 장거리 열차 (Inter-city services)

베르겐선에서는 장거리 전기 여객 열차 서비스가 제공된다. 주간 열차는 전기 기관차 El 18 및 7급 객차를 사용한 기관차 견인 열차로 운행된다. 야간 열차 서비스는 WLAB2 침대 객차를 갖추고 이 노선에서 제공된다.[1]

급행 열차(Regiontog)는 베르겐 선, 도브레선, 쇠르란선에서 운행된다. 4량 편성 전동차 BM73(:en:NSB Class 73) 또는 기관차 견인 방식으로 운행된다.[1]

야간 열차는 뫼를란 선의 트론헤임~보되 구간에서 BM93을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매번 다르다.[1]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1]

  • 오슬로~트론헤임(도브레 선): 릴레스트롬, 오슬로 공항, 하마르, :en:Brumunddal Station, :en:Moelv Station, :en:Lillehammer Station, :en:Hunderfossen Station, :en:Ringebu Station, :en:Vinstra Station, :en:Kvam Station, :en:Otta Station, :en:Dovre Station, :en:Dombås Station, :en:Hjerkinn Station, :en:Kongsvoll Station, :en:Oppdal Station, :en:Berkåk Station, :en:Støren Station, :en:Heimdal Station, 트론헤임 중앙역 경유[1]
  • 오슬로~베르겐[1]
  • 오슬로~크리스티안산~:en:Stavanger Station[1]


현재 운용 중이며, 개조되지 않은 객차는 가장 오래된 B3계, B5계, B7계이다. B7계는 다른 객차들이 중거리용인 것에 반해, 장거리 급행 열차로 운용되고 있다.[1]

3. 3. 광역 열차 (Regional services)

Vy는 두 개의 광역 철도 서비스를 운영한다. 모든 광역 열차는 새로운 빨간색과 회색의 외장을 적용받을 예정이다. NSB는 이전에 광역 서비스에 "Agenda"라는 브랜드 이름을 사용했다.[1]

광역 서비스는 74형 (R10 스키엔–릴레함메르) 및 73b형 (R20 오슬로 중앙역 – 할덴 – (예테보리))을 사용한다. 이 서비스는 간선 철도, 베스트폴 선 및 외스트폴 선을 따라 매시간 운행된다. 릴레함메르와 스키엔 사이를 운행하는 열차는 오슬로 공항 가르데르모엔에 정차하여 공항 급행 열차의 대안을 제공한다.[1]

3. 4. 통근 열차 (Commuter services)

오슬로 통근 철도는 69형, 72형, 75형 열차를 사용하여 다음 서비스를 제공한다.

  • L1 (스피케스타드)–아스케르–오슬로–릴레스트룀 (간선)
  • L12 에이즈볼–오슬로–드람멘–콩스베르그 (간선 및 쇠를란 선)
  • L13 드람멘–스쿄엔–오슬로–예스하임–달 (간선 및 드람멘 선)
  • L14 아스케르–릴레스트룀–오르네스–콩스빙게르 (콩스빙게르 선)
  • L2 스타벡–오슬로–스키 (외스트폴 선)
  • L21 스타벡–오슬로–모스 (외스트폴 선)
  • L22 스쿄엔–오슬로–미센–(라케스타드) (외스트폴 선)


기타 통근 열차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베르겐 통근 철도: 베르겐–보스–뮈르달 (베르겐 선) 69형 열차 사용
  • 포르스그룬–노토텐 (브라츠베르그 선) Y1형 동차 사용
  • 스타방에르-에게르순 (쇠를란 선, BM72로 운행)
  • 레르켄달, 트론헤임-스타인샤르 (노르란 선, BM92로 운행, 트뢴데르바넨이라고도 불림)
  • 아렌달 역-넬라우 (아렌달 선, BM69로 운행)


Vy는 베르겐, 오슬로, 시엔 주변에서 통근 열차 서비스를 운영하며, 이 서비스는 보통 시간당 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한때 통근 열차에 "Puls"라는 브랜드 이름을 사용하고 일부 열차를 녹색으로 도색했으나, 이 브랜드는 중단되었다.

3. 5. 공공 서비스 의무 (PSO) 계약

2005년NSB의 자회사인 NSB 예비크 선이 예비크 선 운영을 경쟁 입찰로 낙찰받아 10년 공공 서비스 의무 계약을 체결했다. 리브 시그네 나바르세테 노르웨이 철도부 장관은 당시 옌스 스톨텐베르그 정권이 이전 셸 망네 본데비크 정권의 철도 운영권 공공 입찰 방침을 철회했다고 밝혔다.[13]

4. 차량

현재 "Vy" 도색을 한 75형 통근 열차


73형 장거리 열차


70형 장거리 열차


93형 통근 열차


노르웨이 여객 열차 부문은 통근, 지역, 광역 열차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열차를 보유하고 있다. 통근 열차로는 72형 전동차 36량, 69형 전동차 82량, 92형 디젤 동차 14량이 운행 중이다. 지역 및 광역 열차로는 73형 전동차 22량, 70형 전동차 16량, 93형 디젤 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또한, 22대의 El 18 전기 기관차와 5대의 Di 4 디젤 기관차가 5형 및 7형 객차를 견인하여 여객 열차를 운행한다.

1990년대 NSB는 철도 차량 현대화를 통해 동력 분산 방식 열차를 확대하고 기관차 견인 열차를 퇴역시켰다. 대부분의 기관차는 화물 회사인 CargoNet AS에 매각되었지만, El 18 및 Di 4 모델은 여객 열차 견인을 위해 남았다. 2000년 Nelaug에서 발생한 신형 73형 열차의 축 파손 탈선 사고는 금속 피로가 원인이었으나, 2005년 이후 해당 열차들은 안정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2008년 8월, NSB는 74형 및 75형 50개 편성(5량 1편성)의 신형 전동차를 주문했다.[6] 이 열차들은 오슬로 광역권 통근 서비스(24개 편성)와 남부 노르웨이 지역 서비스(26개 편성)에 투입될 예정이었다. 당초 2012년 인도가 예정되었으나 시험 중 사고로 지연되었으며, 복선화 사업 완료 후 운행 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7] 총 8억 4천만 스위스 프랑 규모의 계약에는 100개 편성을 추가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다.[8] 이 열차는 노르웨이 기후에 맞춰 특별 개조되었으며, 최고 속도는 200km/h이다.

4. 1. 기관차 (Locomotives)

4. 2. 전동차 (Electric multiple units)



72형 전동차를 이용한 노르웨이 국철 일반 열차


형식구분운행 지역편성 량수비고
69형통근 열차오슬로, 베르겐, 아렌달80량 (2량 또는 3량 편성)[17]
70형광역 (중거리) 열차오슬로16량 (4량 편성)[17]
72형통근 열차오슬로, 스타방에르36량 (4량 편성)[17]
73A형광역 열차오슬로를 오가는 노선16량 (4량 편성)
73B형지역 열차외스트폴 선6량 (4량 편성)
74형 (BM74)광역 열차36편성2012년 5월 운행 개시[9]
75형 (BM75)통근 열차 (S반)61편성2012년 운행 개시[17]
79형 (Class 79, FLIRT)장거리 열차2026년 12월 도입 예정[17]



1990년대 노르웨이 국철은 차량 현대화를 통해 분산 동력 방식을 확대하고, 기관차 견인 열차를 퇴역시켰다. 2008년 8월에는 74형 및 75형 50개 편성을 주문했으며,[6] 추가로 100개 편성을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되었다.[8] 이 열차는 최고 200km/h로 운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25년에는 알스톰의 코라디아 노르딕(Coradia Nordic) 기반 신형 통근 전동차 30량을 도입할 예정이며,[16] 최대 200량까지 도입할 수 있는 옵션 계약이 체결되었다.

4. 3. 디젤 동차 (Diesel railcar)

Y1은 2015년까지 브라츠베르그 선의 셰엔과 노토덴 사이에서 운행되었다.[1]

차량 번호설명비고
Y1브라츠베르그 선 셰엔-노토덴 구간 운행[1]


4. 4. 객차 (Carriages)

노르웨이 국철에서 운행 중인 비동력 여객 객차는 B3 시리즈(가장 오래됨), B5 시리즈, B7 시리즈이다. B5 및 B7 시리즈는 장거리 급행 열차에 사용되며, 녹색의 B3 시리즈는 플롬선(미르달-플롬) 관광 열차에 사용된다.[1] 개조되지 않은 객차는 가장 오래된 B3계, B5계, B7계이다. B7계는 다른 객차들이 중거리용인 것에 반해 장거리 급행 열차로 현재도 운용되고 있다.[1]

5. 자회사

노르웨이 국철(NSB)은 여러 자회사를 소유하고 있으며, 각 자회사는 특정 분야의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회사명서비스 분야소유 지분비고
아리브IT 서비스100%
뷔 버스버스 운송100%
뷔 예비크바넨예비크 선 열차 운행100%
뷔 토그스웨덴 내 열차 운행100%
카고넷 AS화물 열차 운행100%
트라피크서비스청소 서비스55%나머지 45%는 ISS 소유



과거 NSB의 자회사였던 아리브(IT 부문), 만테나(차량 점검), 네트버스(버스 운행), 롬 에이endom(부동산 개발) 등은 2002년 규제 완화 조치 이후 분리되었다. 화물 운송 부문은 카르고넷으로 이관되었으며, 스웨덴의 토그콤파니에를 인수하였다. 카고넷의 45%는 스웨덴 철도의 후임자인 그린 카고에 매각되었다.

뷔 토그는 노르웨이 철도청과의 계약을 통해 베르겐 선 여객 열차를 운행한다.[10]

5. 1. Vy Tog

Vy의 자회사인 '''Vy Tog AS'''는 2019년 12월 9일 노르웨이 철도청으로부터 2020년 12월부터 베르겐 선의 모든 여객 열차 운행 계약을 체결했다.[10] 여기에는 장거리 열차 F5 오슬로–베르겐, 광역 열차 R40 베르겐–보스–미르달, 시내 열차 L4 베르겐–아르나가 포함된다.

6. 경영진

재임 기간이름
1996–2000오스문드 울란드
2000–2000란디 플레스란드 (대행)
2000–2001아르네 왐 (대행)
2001–2011에이나르 엥거
2011–2019게이르 이삭센
2020–현재그로 바크스타드



모든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하여 출력하였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Norges Statsbaner AS https://snl.no/Norge[...] Store norske leksikon 2016-10-01
[2] 웹사이트 http://www.flytoget.[...] 2006-10-18
[3] 뉴스 NSB and Nettbuss merge to become Vy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19-03-13
[4] 웹사이트 NSB Group rebrands as Vy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9-04-25
[5] 뉴스 Folk flest misliker navnene Vy, Equinor og Oslo Met https://www.aftenpos[...] Aftenposten 2019-07-02
[6] 웹사이트 NSB invests in new trains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08-08-21
[7] 웹사이트 http://www.dn.no/for[...] 2013-09-27
[8] 웹사이트 New trains for Norwegian Railways http://www.norwaypos[...] The Norway Post 2008-08-21
[9] 웹사이트 Første Flirt med passasjerene - VG http://www.vg.no/nyh[...] Vg.no 2015-10-29
[10] 웹사이트 Traffic Package 3 https://www.jernbane[...] Norwegian Railway Directorate 2020-03-12
[11] 서적 Norsk Historie 1814–860 Det Norske Samlaget 1999
[12]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flytoget.[...] 2007-02-24
[13] 웹사이트 NSB invests in new trains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08-08-21
[14] 뉴스 Milliard-Flirt for NSB http://www.dn.no/for[...] dn.no 2008-08-19
[15] 웹사이트 New trains for Norwegian Railways http://www.norwaypos[...] The Norway Post 2008-08-21
[16] 웹사이트 ノルウェー国鉄、アルストムに最大200両の通勤電車を発注 https://denshadex.co[...] 2023-02-23
[17] 웹사이트 ノルウェー国鉄、長距離列車に寝台も備えた新型車両「FLIRTNEX」を導入!2026年にデビュー予定 https://denshadex.co[...] 2023-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